기술과 이슈 및 뉴스/기술동향

경전철(경량전철, LRT)의 종류와 특징

_교통쟁이_ 2020. 8. 1. 07:00
반응형

개요 및 정의

  • 「도시철도건설규칙」 제2조6항
  • "경량전철"이란 모노레일형식, 노면전차형식, 철제차륜형식, 고무차륜형식, 선형유도전동기형식, 자기부상추진형식 등으로 운행되고, 차량 최대 설계축중 13.5톤 이하[분포하중(分布荷重)의 경우 단위 미터당 2.8톤 이하를 말한다]의 전기철도
  • 기존 중전철 지하철과 버스의 중간형태로 1편성이 1~6량으로 구성되어 운행하며, 중전철보다 차량의 크기도 작아서 수송능력도 상대적으로 낮음

 

종류

구분 선형유도차량방식 원형회전모터 AGT 모노레일 노면전차(트램)
승객정원 130명 100명 90명 80명 100명
차량수
(량/편성)
2~6 2~4 2~6 2~6 2~3
수송능력
(시간당)
2.5만 1.5만 0.7만 0.5만 0.2만
차륜 철제 철제 고무 고무/철제 철제
사례 용인경전철 부산김해경전철
인천2호선
의정부경전철
부산4호선
대구3호선 위례트램(예정)
대전2호선(예정)

 

노면전차 특징 및 장단점

현대적 의미의 노면전차(트램)은 노선의 전용궤도화와 고성능 저상차량의 도입에 의하여 수송력, 신속성, 정시성, 쾌적성이라고 하는 서비스 평가 요소가 개선되어, 철도와 버스의 중간 수송력을 가진 새로운 중량 수송 시스템을 의미

 

장점

  1. 버스+철도 특성 : 도로위 운행과 독립된 레일을 이용하므로 지역별 도시교통여건에 맞추어 다양한 기능 실현 가능
  2. 경전철 등의 건설비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저렴
  3. 승객 수요에 맞추어 운행을 탄력적으로 조정 가능 (중전철 철도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4. 노면과 전차의 높이차가 거의 없어 저상버스와 비슷하게 교통약자의 승하차가 용이
  5. 친환경성 : 배출가스 Zero, 환경오염 최소화, 에너지 효율성은 버스의 약 1/10 수준
  6. 무가선 방식의 경우 도시미관 개선 효과

단점

  1. 버스에 비하여 노선의 자유로운 설정이나 변경에 제약이 있음
  2. 도로위에 자동차, 보행자 등이 하나의 구간에서 운행하는 것에 대한 안전 문제
  3. 자동차, 보행자 등의 운행 제약에 따른 거부감 등

운영전략

  1. 통신신호시스템 연계 : 트램우선신호, 긴급상황 통제 시스템
  2. 교차로 설계 간소화 : 회전처리 제약으로 인한 상충 최소화
  3. 완전도로(Complete Street) 개념 도입
  4. 자동차 편의를 최우선으로 만들어진 현재 대부분의 도시의 도로, 하나의 이동수단에만 최적화된 불완전한 도로(Incomplete Street)
  5. 다른 모든 이동수단들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완전한 도로의 의미
  6. 교통정온화 기법 도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