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요내용
- '수소경제'는 수소를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수소가 국가 경제, 사회 전반, 국민 생활 등에 근본적 변화를 초래하여 경제성장과 친환경 에너지의 원천이 되는 경제를 의미함
- 혁신성장 동력을 창출하고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해 각 부처가 연합하여 '수소경제' 사회로의 본격적인 전환 대책을 마련해 추진중에 있으며, 수소경제를 혁신성장을 위한 전략투자 분야로 선정, 단계적으로 수소경제를 확대하는 방안 발표
- 2022년까지 수소전기차(승용차) 8.1만대 보급, 2040년까지 620만 대(내수 290만대, 수출 330만대)의 수소전기차(승용차)생산과 수소충전소 1,200개소 구축을 추진할 계획 -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서 제시한 수소 승용차 보급 목표치가 달성된다는 전체를 바탕으로 도로환경의 개선 효과를 평가한 결과, 2040년 기준 해당 연도의 화폐가치로 총 2,686.1억원/년의 편익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됨
- 전국 5대 도시권을 대상으로 도로환경 개선 편익 분석 결과를 비교했을 때 대도시권 내 주요 광역시보다 경기도 일부 도시의 단위당 편익이 더 크게 도출될 것으로 예상
연구의 기대효과 및 정책제언
- (연구의 기대효과) 수소경제 사회로의 전환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확고한 상황에서 향후 증대될 수소연료전지차 보급에 따라 발생되는 도로환경의 변화에 대한 사전적 평가 가능
- (정책제언 ①) 수소에너지 기반의 도로교통 운송체제 도래 시 발생하는 효롸를 검토하여 향후 도로사업의 타당성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편익항목 반영
- (정책제언 ②) 수소연료전지차 이용으로 인한 긍정적 파급효과를 누릴 수 있는 서울시 외 수도권 내 지역을 중심으로 관련 정책의 추진력을 제고
- 수소연료전지차 도입으로 인한 도로대기환경 편익이 큰 지역을 대상으로 우선적 지원책 마련
반응형
'정책과 환경변화 > 논문 및 발간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간교통 2022년 6월호 새정부의 교통분야 국정과제와 정책 제언 (0) | 2022.06.30 |
---|---|
국토정책 브리프 - 교통 접근성 격차를 고려한 공유 모빌리티 확대방안 (0) | 2021.02.24 |
월간교통 2021.01 2021년 교통정책 연구방향과 과제 (0) | 2021.02.18 |
월간교통 2020.12 한국판 뉴딜정책 교통물류 분야 추진방안 (0) | 2021.02.17 |
국토정책 Brief. 교통 접근성 격차를 고려한 공유 모빌리티 확대방안 (0) | 2020.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