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책과 환경변화 31

2022년 스마트 도시·서비스 인증 공모 결과, 진짜 스마트한건가?

국토교통부가 2022년 스마트 도시·서비스 인증 공모 결과를 발표했다. (2022.09.30.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스마트 역량을 진단하고 우수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2021년도부터 시작된 사업... (이하 중략) 효용성 높은 서비스의 발굴 확산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으로, 이번...(이하 중략) 스마트 도시인증 평가 항목은... ① 스마트도시 서비스 및 기반시설 수준 ② 관련 제도기반과 추진 체계 ③ 시민과 지방 공무원들의 전문성·혁신성 스마트 서비스 인증 평가항목은... ① 체감효과 및 시민 만족도 ② 기술·기능의 수준 및 적합성 ③ 지역 확산 가능성 등으로 평가를 진행했다고...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는 질문이 아닌) 과연 진짜 스마트시티일까? 과연 정말로 스마트서비스일까? 그럼 반대로 공모에 지원한 ..

월간교통 2022년 6월호 새정부의 교통분야 국정과제와 정책 제언

새정부의 교통 분야 국정과제와 정책 제언 특집 01 새정부의 광역도시교통 분야 국정과제와 정책 제언 특집 02 새정부의 도로교통 분야 국정과제와 정책 제언 특집 03 새정부의 철도교통 분야 국정과제와 정책 제언 특집 04 새정부의 항공교통 분야 국정과제와 정책 제언 특집 05 새정부의 물류 분야 국정과제와 정책 제언 사진으로 본 교통 2021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전기차 모델 Top 10 빅데이터로 연결하는 미래 교통 로봇 3원칙과 자율주행자동차 원문링크

국토정책 브리프 - 교통 접근성 격차를 고려한 공유 모빌리티 확대방안

주요내용 지방권뿐만 아니라 수도권에서도 읍·면과 동으로 구성된 도농복합도시가 다수 존재하며 같은 생활권이라도 읍·면은 동지역에 비해 도보 및 대중교통의 접근성이 떨어지고, 승용차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 수도권 외곽의 경우 저소득층과 고령층 통행자 중에 읍·면을 출발하는 통행에서 승용차를 이용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남 복지택시 등의 수요응답형교통(Demand Responsive Transport: 이하 DRT)*은 대중교통이 취약한 지역 중 일부에만 제공되며 카셰어링 등의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공유 모빌리티’(이하 플랫폼 서비스)도 동지역에 편중됨 * DRT: 승객의 요구에 부응하여 차량운행의 경로나 스케줄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교통 서비스 ​해외 사례를 검토한 결과 ‘DRT 서비스의 탄력적인 운영’..

국토정책 브리프 - 수소경제 시대의 대기환경 개선효과와 도로정책 방향

주요내용 '수소경제'는 수소를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수소가 국가 경제, 사회 전반, 국민 생활 등에 근본적 변화를 초래하여 경제성장과 친환경 에너지의 원천이 되는 경제를 의미함 혁신성장 동력을 창출하고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해 각 부처가 연합하여 '수소경제' 사회로의 본격적인 전환 대책을 마련해 추진중에 있으며, 수소경제를 혁신성장을 위한 전략투자 분야로 선정, 단계적으로 수소경제를 확대하는 방안 발표 - 2022년까지 수소전기차(승용차) 8.1만대 보급, 2040년까지 620만 대(내수 290만대, 수출 330만대)의 수소전기차(승용차)생산과 수소충전소 1,200개소 구축을 추진할 계획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서 제시한 수소 승용차 보급 목표치가 달성된다는 전체를 바탕으로 도로환경의 개선..

월간교통 2021.01 2021년 교통정책 연구방향과 과제

2021년 교통정책 연구방향과 과제 특집 01 모빌리티 산업의 구조 전환 준비 (4차산업혁명교통연구본부 연구방향 과제) 특집 02 대중교통체계 혁신 연구 및 코로나19 이후 미래 교통체계 구상 (종합교통연구본부 연구방향과 과제) 특집 03 패러다임 바뀌는 도로정책 주도, 산적한 도로문제 솔루션 제공 (도로교통연구본부 연구방향과 과제) 특집 04 이용자 중심의 철도서비스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 마련 (철도교통연구본부 연구방향과 과제) 특집 05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전략 개발 및 항공정책 연구 강화 (항공교통연구본부 연구방향과 과제) 특집 06 물류산업 스마트화·디지털화 앞당기는 실행방안 마련 (물류연구본부 연구방향과 과제) 특집 07 정부·민간에 도움되는 글로벌 정책연구와 해외사업 추진 (글로벌교통연구..

월간교통 2020.12 한국판 뉴딜정책 교통물류 분야 추진방안

시론 교통부문 한국판 뉴딜, 이렇게 추진하자 한국판 뉴딜정책 교통물류 분야 추진 방안 특집 01 그린 모빌리티 확대를 위한 당면 과제 특집 02 e-Mobility 기반의 스마트 모빌리티 활성화 방안 특집 03 화물차 온실가스·미세먼지 저배출 전환 특집 04 한국판 뉴딜의 도로 SOC 디지털화 특집 05 통합 C-ITS 체계 구축 방향 특집 06 R&D 혁신을 통한 철도 SOC 디지털·그린 뉴딜 특집 07 항공·공항부문 디지털 뉴딜 특집 08 한국판 뉴딜과 스마트시티 교통 솔루션 실행방안 특집 09 판교제로시티 자율주행 실증단지 운영사례 및 시사점 특집 10 자율주행 성능검증 인증체계 조기 구축 특집 11 생활물류산업 스마트화 지원방안 특집 12 콜드체인과 물류에너지 관리 개선방안 특집 13 디지털 도시..

국토정책 Brief. 교통 접근성 격차를 고려한 공유 모빌리티 확대방안

주요내용 지방권뿐만 아니라 수도권에서도 읍·면과 동으로 구성된 도농복합도시가 다수 존재하며 같은 생활권이라도 읍·면은 동지역에 비해 도보 및 대중교통의 접근성이 떨어지고, 승용차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 수도권 외곽의 경우 저소득층과 고령층 통행자 중에 읍·면을 출발하는 통행에서 승용차를 이용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남 복지택시 등의 수요응답형교통(Demand Responsive Transport: 이하 DRT)*은 대중교통이 취약한 지역 중 일부에만 제공되며 카셰어링 등의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공유 모빌리티’(이하 플랫폼 서비스)도 동지역에 편중됨 해외 사례를 검토한 결과 ‘DRT 서비스의 탄력적인 운영’과 ‘대중교통 취약지역을 위한 플랫폼 서비스 제공’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 도출 - 영국과 호주에서..

서울시 대중교통 서비스의 지역 형평성 평가 (서울연구원)

01 연구개요 02 관련 연구 검토 03 서울의 지역별 대중교통 접근성 평가 04 서울 주요 지역의 대중교통 이동성 평가 05 서울 주요 지역의 생활서비스 접근성 평가 06 연구 결과 활용방안 지역 형평성 평가를 통하여, 01 대중교통 노선 조정 및 신설 02 대중교통 보조교통수단 제공 03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계획 및 토지이용계획 수립 04 대중교통 서비스 정보제공 05 대중교통 정책 목표 설정 등 법정동, 행정동 위주의 접근성 분석 등이 아니라 주요시설물(학교/회사 등의 통근통학, 대형병원/터미널 등의 서비스 시설)을 중심으로 분석이 필요 원문링크

교통안전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 시행 - 아파트 단지내 보행자 안심 교통환경 조성 강화

교통안전법 시행령(2020.11.27 시행) 제2조의2(단지내도로의 종류와 범위) 단지내 도로의 종류와 범위 : 『공동주택관리법』 제2조제1항제2호가목~라목까지의 규정에 따른 의무관리대상 공동주택단지에 설치되는 통행로로서 차도, 보도, 자전거도로 제47조의2(단지내도로의 설치·관리자 등) 1. 일시정지 또는 횡단보도 설치 안내 등을 내용으로 하는 안전표지 2. 과속방지턱 3. 도로반사경 4. 어린이 안전보호구역임을 나타내는 표지 5. 조명시설 6. 그밖의시설 - 시선유도봉, 자동차 진입억제용 말뚝, 보행자용 방호울타리, 교통정온화시설

월간교통 2020.11 자율주행자동차 정책과 향후 과제, 2부 안전과 서비스

시론 국가균형발전과 초광역권 발전전략 자율주행자동차 정책과 향후 과제 : 2부 안전과 서비스 특집 01 자율주행차의 안전과 사회적 수용성 확보 방안 특집 02 자율주행차의 안전기준과 향후 추진 방향 특집 03 자율주행기반 모빌리티 서비스 추진 방향 특집 04 도심 주거단지 연계형 자율주행셔틀 실증과 서비스 방향 기고 고속도로 수납체계에도 첨단기술의 바람이 분다 원문링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