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01 연구개요
02 관련 연구 검토
03 서울의 지역별 대중교통 접근성 평가
04 서울 주요 지역의 대중교통 이동성 평가
05 서울 주요 지역의 생활서비스 접근성 평가
06 연구 결과 활용방안
지역 형평성 평가를 통하여,
01 대중교통 노선 조정 및 신설
02 대중교통 보조교통수단 제공
03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계획 및 토지이용계획 수립
04 대중교통 서비스 정보제공
05 대중교통 정책 목표 설정 등
법정동, 행정동 위주의 접근성 분석 등이 아니라
주요시설물(학교/회사 등의 통근통학, 대형병원/터미널 등의 서비스 시설)을 중심으로 분석이 필요
반응형
'정책과 환경변화 > 논문 및 발간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간교통 2020.12 한국판 뉴딜정책 교통물류 분야 추진방안 (0) | 2021.02.17 |
---|---|
국토정책 Brief. 교통 접근성 격차를 고려한 공유 모빌리티 확대방안 (0) | 2020.12.04 |
월간교통 2020.11 자율주행자동차 정책과 향후 과제, 2부 안전과 서비스 (0) | 2020.11.28 |
월간교통 2020.10 자율주행자동차 정책과 향후 과제, 1부 정책과 방향 (0) | 2020.11.04 |
월간교통 2020.09 교통영향평가제도의 의미와 개선방안 (0) | 2020.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