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마트시티 3

새로운 스마트시티가 필요할까, 기존의 도시를 혁신해야 할까...

스마트시티 구축 방향 두가지 1. 기존 도시의 스마트화 2. 신규 도시의 창조 (네옴시티 등) 신도시 개발은... 1. 새로운 기반시설을 처음부터 개발 (즉, 비용이 많이 소요) 2. 계획된 도시개발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 (그래도 비용이 많이 소요) 3. 특화된 형태의 항목이 없다면 성공하기 어렵다. 기존 도시를 대체할 수 있어야 한다. (결국 비용 소모) 그럼 과연 기존 도시를 정비하는 것이 좋은것인가... 1. 세계 대부분의 대도시들은 지역의 경제 성장에 대응하면서 오랜기간에 걸쳐 발전해왔음 2. 기존 도시 인프라는 낙후되고 노후화되어 개선할 필요성이 있지만 다른 투자재원을 고갈 시키는 형태가 될 수 있음 3. 대학, 산업클러스터 등 기반이 되는 사항들이 충분히 뒷받침 되어야 할것임 https://w..

2022년 스마트 도시·서비스 인증 공모 결과, 진짜 스마트한건가?

국토교통부가 2022년 스마트 도시·서비스 인증 공모 결과를 발표했다. (2022.09.30.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스마트 역량을 진단하고 우수사례를 발굴하기 위해 2021년도부터 시작된 사업... (이하 중략) 효용성 높은 서비스의 발굴 확산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으로, 이번...(이하 중략) 스마트 도시인증 평가 항목은... ① 스마트도시 서비스 및 기반시설 수준 ② 관련 제도기반과 추진 체계 ③ 시민과 지방 공무원들의 전문성·혁신성 스마트 서비스 인증 평가항목은... ① 체감효과 및 시민 만족도 ② 기술·기능의 수준 및 적합성 ③ 지역 확산 가능성 등으로 평가를 진행했다고...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는 질문이 아닌) 과연 진짜 스마트시티일까? 과연 정말로 스마트서비스일까? 그럼 반대로 공모에 지원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