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의 및 개념
내용 | 기업예시 | |
제1자물류 (1PL) | 기업이 사내 물류조직을 두고 물류업무를 직접 수행하는 경우 | 아모레퍼시픽 |
제2자물류 (2PL) | 기업이 자회사나 계열사 등에 위탁하여 물류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 현대글로비스 범한판도스(LG) |
제3자물류 (3PL) | 물류전문기업에 위탁하여 물류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 DHL(미국) 퀴네&나겔(독일) |
제4자물류 (4PL) | 물류기업이 화주기업에게 Network Soultion 및 IT Solution을 활용하여 통합물류 솔루션을 제공하는 경우 | Vector SCM(미국) |
Picking Logistics : 고객주문에 대한 출고 업무
Packing Logistics : 피킹한 제품을 검수하여 포장하는 업무
Parking Logistics : 차량을 통한 수배송 업무
특징
- 과거엔 소품종/대량생산체제 시대였다면 현재는 다품종/소량생산 시대로 전환되었으며, 이에 따라 기업들은 핵심적인 것만 직접 진행하는 인소싱체제를 가져가며 나머지 비전문적인 것들은 전문업체를 통한 아웃소싱 체제로 변화
- 결국 제조나 유통업체들이 단일계약으로 전문 물류업체로부터 공급사슬 전체를 지원하는 통합된 물류서비스를 제공받고 싶어하며, 이는 고객의 다품종/소량의 요구가 많아짐에 따라 나타나게된 새로운 물류형태가 제4자물류
- One-Stop 물류서비스를 요구하는 토탈물류 서비스에 대한 니즈 증가
- 글로벌 물류공급체계를 갖춘 새로운 형태의 물류서비스 업체의 등장으로 인한 기업환경의 글로벌 변화에 대한 대응 필요
- 다품종, 소량, 다빈도, 단납기 등의 고객의 다양한 요구 사항에 대응
- 제품의 품질변화가 힘들고, 시장환경에서 보다 빠르게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물류서비스가 핵심경쟁력이 되면서
- 물류서비스가 기업의 차별화된 경쟁요소로 부각
- 전자상거래 및 e-비즈니스 등의 새로운 비즈니스에 대응하기 위한 물류정보시스템을 갖춘 물류서비스 업체들의 요구 증가
- 기업의 핵심역량 집중화에 따른 물류부문 집중 강화
시사점
- 우리나라 물류의 운송은 약 절반정도가 육상운송업에 치중되어 있으며, 단순 운송업 이상의 대형 물류 서비스를 기대하기에는 아직 어려운 단계이며 현대글로비스/범한판토스 등의 대형물류회사라 하여도 모기업의 물류를 다당하는 2PL 형태의 물류업무를 수행하는데 그치고 있다.
- 물류시설비, 관련 인건비 등 막대한 자본이 필요하며 규모의 경제로 진행될 수 있는 물류서비스 체계가 사실상 어렵기에 우리나라에서는 물류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물류전문업체와 4PL의 전망이 밝지 않다.
- 외국의 경우는 의약품, 음식료 업계 등에서 4자물류가 도입되어 비용절감 효과, 물류업무 효율 향상의 효과를 거두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에 맞추어 의약품, 식음료 등의 물류서비스에 다양한 IT 기술을 접목하고 있다.
- 의약품 식음료 등의 유통과 보관이 중요한 상품에 대하여는 블록체인 및 AI 기술을 응용하여 입고부터 가공, 포장, 판매에 이르기까지 생산과 유통과정의 모든 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이는 비용을 절감하고 물류업무의 효율 향상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반응형
'기술과 이슈 및 뉴스 > 기술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D(Inland Container Depot) 내륙의 항만 (0) | 2021.03.08 |
---|---|
Barrier Free & Universal Design (0) | 2020.12.17 |
환경자원의 경제적가치 (0) | 2020.09.28 |
통행시간 가치 (0) | 2020.09.26 |
교통사고비용 (0) | 2020.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