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노선 중복도
- 동일한 버스노선에 다른 노선이 운행되는 것을 의미
- 중복도가 1.0은 노선의 기점에서부터 종점까지 노선을 공유하는 다른 노선이 전혀 없는 것을 의미
- 노선의 중복도 자체가 시내버스 서비스를 저하시키는 것은 아니나, 노선의 효율성 측면에서 문제
- 시내버스 수요에 비해 노선이 과다 공급됨으로써, 상대적으로 노선이 필요한 지역에 노선을 공급하지 못하는 비효율을 초래
노선 굴곡도
- 기․종점을 기준으로 선형의 굴곡도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 기점에서 종점까지를 최단거리로 연결할 때 1.0
- 서울 약 1.2, 부산 약 1.36, 대구 1.3, 대전 약 1.62 등
- 노선의 굴곡도가 높아질수록 이용객의 통행시간 증가, 노선거리 증가에 따른 정시성 감소 등의 측면이 크게 작용
반응형
'기술과 이슈 및 뉴스 > 기술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중교통(버스)의 용량산정 및 서비스수준 분석 (0) | 2020.07.16 |
---|---|
수요대응형 교통체계(DRT) (0) | 2020.07.15 |
대중교통 이동성지표 정시성지표 (0) | 2020.07.14 |
BRT 구성요소, S-BRT (0) | 2020.07.13 |
클라우드버스정보시스템(Cloud BIS), BIS, BMS, BIMS (0) | 2020.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