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과 이슈 및 뉴스/기술동향

대중교통(버스)의 용량산정 및 서비스수준 분석

_교통쟁이_ 2020. 7. 16. 10:45
반응형

개요

  • 대중교통수단의 용량 및 서비스수준은 교통수단의 차량의 크기와 이들의 운행간격(또는 운행빈도)에 좌우
  • 도로용량편람*에서는 버스의 서비스 질(質)을 판단하는 여러 가지 요소들 중에서 비교적 계량화가 용이한 차내용량, 운행간격(운행빈도) 및 운행시간(서비스 제공시간), 정차면(berth) 용량, 그리고 정류장 용량의 4가지 요소를 대상으로 용량 산정 및 서비스수준 분석 방법 제시

 

분석을 위한 효과척도

① 버스 차내용량 : 차량당 승객의 좌석수 또는 면적
② 버스의 운행간격(운행빈도) 및 운행시간 : 한 버스 노선 또는 도로축상의 연속된 버스운행간 시간간격

    (단위시간당 버스운행회수) 및 하루 중 버스가 운행되는(즉, 서비스가 제공되는) 시간길이
③ 버스정류장 정차면(berth) 용량 : 시간당 최대 버스수
④ 정류장 용량 : 시간당 버스정류장당 최대버스대수

 

시공도상 버스정류장에서의 버스궤적 (출처 : 도로용량편람)
정류장에서 버스의 점유시간 구성 (출처 : 도로용량편람)

 

 

 

* 「도로용량편람」 (국토교통부, 2013)의 13.대중교통 항목 참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