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요
여러 교통수단이 연계되는 결절점에서 환승편의를 위한 연계 교통시설과 문화, 상업기능을 갖춘 사회경제적 활동을 복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시설 『국가교통체계효율화법』 제2조15
유형
개발목표와 과제
- 수단간 인터모달리즘 구현 : 철도 ↔ 버스 ↔ 비행기 ↔ 배 (수단간 환승)
- 도시발전전략과 연계 : 도시재생사업 등
- 계획적 개발 : 복합환승센터를 지구단위계획에 포함하여 개발
- 녹색성장과 녹색교통의 거점 육성 : 미래산업 및 주거․업무단지(ex, 삼성동 GBC)
- 환승저항 개선 : 환승소요시간, 환승거리 등 절감
주요 쟁점 및 문제점
- 기존 교통시설과의 환승의 구조적 불편함으로 인한 환승저항
- 환승거리가 길고(계단이 많고) 지상↔지하 연결 부족 등의 시설물의 구조적 문제
- 구 시가지의 유동인구 집중으로 인한 발전으로 추가확장, 연계 등이 구조적으로 어려운 문제
- 인근 도시계획․지구단위 계획화 연계되지 않은 환승시설 단독 개발
- 신도시 개발과 환승시설 건설의 시간차로 인한 주민불편
- 설계변경, 예산 등의 문제로 계획과 다르게 건설하여 완공후 이용률 저하
- 정치적, 기타 이해관계자들의 님비․핌비 현상으로 환승효과가 크지 않은 곳에 환승시설 건설
- 민간투자 사업 진행으로 인한 공공재 성격이 아닌 사업성 결과물로만 치중하여 건설
반응형
'기술과 이슈 및 뉴스 > 기술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도의 종류 구분, 표정속도와 급행열차 (0) | 2020.07.30 |
---|---|
대중교통전용지구, 보행자전용도로, 보행자전용지구 (0) | 2020.07.29 |
TOD 대중교통중심개발(Transit Oriented Development) (0) | 2020.07.21 |
대중교통(버스)의 용량산정 및 서비스수준 분석 (0) | 2020.07.16 |
수요대응형 교통체계(DRT) (0) | 2020.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