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OD 개념정의 및 개요
- 교통계획시 토지이용과 연계하여 대중교통중심의 도시개발 기법
- 대중교통 정류장(버스정류장, 철도역사)를 중심으로 고밀도의 복합용도 개발
- 기존 교통대책과 달리 급행 버스 정류장, 도시철도 역사를 중심으로 교통과 토지이용을 통합하여 승용차 이용을 최소화 하고, 대중교통, 보행, 자전거 이용을 장려하는 도시개발 개념
TOD 필요성
- 역세권 개발과 같이 단편적이고 자동차 중심의 기법은 효과를 거두지 못하므로 새로운 도시개발계획 및 설계기법이 TOD 기반이 되어야 함
- 기존 신도시 및 2기 신도시의 TOD 미흡으로 승용차를 이용한 광역시의 유출입 통행이 발생
- 3기 신도시는 S-BRT, 도시철도 연장, GTX 등 대중교통 노선의 계획을 우선 발표 하였고, 대중교통 중심의 설계/건설이 될예정이지만 아직 효과는 미지수
TOD 설계방식
TOD와 역세권 개발의 차이점
반응형
'기술과 이슈 및 뉴스 > 기술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중교통전용지구, 보행자전용도로, 보행자전용지구 (0) | 2020.07.29 |
---|---|
복합환승센터 (0) | 2020.07.27 |
대중교통(버스)의 용량산정 및 서비스수준 분석 (0) | 2020.07.16 |
수요대응형 교통체계(DRT) (0) | 2020.07.15 |
버스노선의 중복도와 굴곡도 (0) | 2020.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