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과 이슈 및 뉴스/기술동향

수요대응형 교통체계(DRT)

_교통쟁이_ 2020. 7. 15. 14:00
반응형

정의

  • 수요대응형 교통체계(DRT, Demand Responsive Transit)은 정해진 노선을 스케줄대로 운행하는 것이 아니라, 수요에 적절히 노선변경, 일정변경 등으로 운행하는 교통시스템(주로 버스)을 의미
  • 지방지역의 지역간 거점 버스, 도시부의 출퇴근 시 버스, 주말 관광지역 연계 노선버스 등

 

현황

  • 따복버스(경기), 마중버스 및 마중택시(충남아산), 행복버스(전북진안), 100원택시 등
  • 수요가 진짜 없는 지역과 버스가 자주 다니는 곳을 왕복, 환승효과도 함께
  • 대부분 농어촌 지역과 지역의 어르신들은 운행지역이 정해져 있음
  • 지역주민이 버스기사 취직으로 일자리 창출 기여도 가능

 

특징

  • 택시와 버스의 중간형태 : 수요가 낮은 지역의 운행에 적합
  • 주로 소형버스로 비용을 최소화 : 비수익 노선 정기운행시보다 재정지원금이 적음
  • 기존 대중교통서비스와 비교하여 최대한의 Door to Door 서비스 가능
  • 이용요금을 저렴하게 할 수 있어 지역주민의 호응 높음

 

도입시 고려사항 및 시사점

지역특성에 맞는 맟춤형 대중교통서비스 필요

  • 서비스 대상의 특성을 이해하고,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DRT 유형을 계획해야 함
  • (소규모 도심 + 광역시외권) 의 도농복합시의 경우 유효한 서비스 가능

교통소외계층에 대한 서비스 제공전략 마련 필요

  • 기존 대중교통 서비스 공백지역의 주민들, 이동약자, 저소득계층의 복지와 형평성 목적으로 접근
  • DRT는 틈새시장을 고려한 서비스로, 요금수준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전략 필요

③ DRT 서비스의 평가방법/기준 개발 필요

  • 운영자 측면 : 이용자 탑승거리/탑승시간, 운행횟수 등
  • 이용자 측면 : 서비스제공시간, 서비스거점, 요금만족도, 대기시간, 사고발생율 등

④ 예산변화, 서비스만족도 등을 파악하고 대응할 전담조직 마련 필요

⑤ 운송사업자의 환경, 근로여건 등의 파악과 개선을 통한 이용자 만족도 향상 대책 필요

 

운영방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