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요
- 주차수요는 대상지역의 소득수준, 승용차보유율, 인구, 건물연면적, 대중교통망 제공수준, 해당도시의 주차정책을 고려하여 적합한 산정이 요구됨
- 신설되는 대규모 개발지역과 복합용도 시설 등의 주차수요는 중복통행량을 고려해야함
- 과거추세연장법, 주차원단위법, 사람통행추정법, 자동차 기종점을 통한 방법 등이 있음
주차수요추정방법
1. 과거추세연장법
- 과거주차수요의 패턴과 증가경향을 분석하여 장래주차수요를 추정
2. 주차원단위법
① 주차발생원단위법
② 건물연면적당원단위법
③ 교통량원단위법
- 교통여건이 안정적이고 지구경계가 분명한 곳에 사용
3. P요소법
- 주차수요가 첨두시 승용차 도착통행량과 주차장 용적률 및 이용효율에 따라 변화한다는 전제하에 정립된 모형
4. 누적주차수요추정법
- 예측된 시간대별 유출입 교통량과 교통수단 분담률 등을 근거로 각 시간대에 누적된 주차대수를 산출하는 방법으로 기본적으로는 p요소법과 동일
5. 사람통행추정
- 가구설문조사와 가은 방법으로 얻어진 기종점조사표에 의해 통행발생량을 예측하고 이를 각 교통수단으로 분류하여 승용차의 유입통행량을 토대로하여 추정하는 방법
6. 자동차기종점에 의한 방법
- 기종점에서는 주차가 발생한다는 전제하에 승용차 기종점을 분석하여 주차수요 추정
- 수요추정은 교통량 원단위 법과 같이 승용차 기종점의 승용차 통행량 패턴과 총주차대수의 상관관계에 의하여 추정하는 방법
장단점비교
반응형
'기술과 이슈 및 뉴스 > 기술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색교통진흥지역, 녹색교통개선지역 (0) | 2020.09.09 |
---|---|
에코 드라이브(Eco Drive)와 에코 패스(Eco Pass), 에코존(Eco Zone) (0) | 2020.09.08 |
대심도 철도,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0) | 2020.08.04 |
경전철 민자사업에서의 문제점 (0) | 2020.08.03 |
경전철(경량전철, LRT)의 종류와 특징 (0) | 2020.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