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과 이슈 및 뉴스/기술동향

주차수요 추정

_교통쟁이_ 2020. 8. 7. 13:47
반응형

개요

  • 주차수요는 대상지역의 소득수준, 승용차보유율, 인구, 건물연면적, 대중교통망 제공수준, 해당도시의 주차정책을 고려하여 적합한 산정이 요구됨
  • 신설되는 대규모 개발지역과 복합용도 시설 등의 주차수요는 중복통행량을 고려해야함
  • 과거추세연장법, 주차원단위법, 사람통행추정법, 자동차 기종점을 통한 방법 등이 있음

 

주차수요추정방법

1. 과거추세연장법

   - 과거주차수요의 패턴과 증가경향을 분석하여 장래주차수요를 추정

2. 주차원단위법

 ① 주차발생원단위법

 

 ② 건물연면적당원단위법

 

 ③ 교통량원단위법

   - 교통여건이 안정적이고 지구경계가 분명한 곳에 사용

 

 

3. P요소법

   - 주차수요가 첨두시 승용차 도착통행량과 주차장 용적률 및 이용효율에 따라 변화한다는 전제하에 정립된 모형

4. 누적주차수요추정법

   - 예측된 시간대별 유출입 교통량과 교통수단 분담률 등을 근거로 각 시간대에 누적된 주차대수를 산출하는 방법으로 기본적으로는 p요소법과 동일

 

5. 사람통행추정

   - 가구설문조사와 가은 방법으로 얻어진 기종점조사표에 의해 통행발생량을 예측하고 이를 각 교통수단으로 분류하여 승용차의 유입통행량을 토대로하여 추정하는 방법

 

6. 자동차기종점에 의한 방법

  - 기종점에서는 주차가 발생한다는 전제하에 승용차 기종점을 분석하여 주차수요 추정

  - 수요추정은 교통량 원단위 법과 같이 승용차 기종점의 승용차 통행량 패턴과 총주차대수의 상관관계에 의하여 추정하는 방법

 

 

장단점비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