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준공영제
- 노선배정과 수입금관리를 위한 공동기구를 설립하여 운영하며 시에서는 일정부문 수입을 보장함으로써 업체들이 적자를 받지 않도록 하는 제도
- 시내버스 영업의 일부를 지자체에서 맡는 제도로 2004년 서울시 버스개편과 함께 도입된 제도
준공영제 운영방식별 구분
도입효과 및 고려사항
차량총량제
- 주로 준공영제 시행시 함께 시행
- 노선의 신설, 운행 변경시 무분별한 증차로 인한 보조금 증차, 요금인상, 세금낭비 등을 방지하고자 지자체 내의 시내버스 전체 차량대수를 한정하여 그 범위내에서 차량을 운행하도록 하는 것
- 과도한 노선중복 및 비슷한 경로의 노선통합, 장거리 운행노선의 변경 등으로 인가대수를 조정하여 잉여차량이 발생시 신규노선 또는 수요가 많은 노선에 투입
- 신규노선, 기존노선의 수요증가 등으로 인한 상황에도 증차가 어려운 상태가 되어 이용자들의 불편이 초래되는 상황 발생
- 신도시, 택지개발 등으로 유동인구, 유입인구 증가에 따른 증차가 어려워 기존 타 노선에서 차량을 감차하여 운행하는 폐해가 나타나고 있음
- 서울시의 경우 보조금 지원을 줄이기 위하여 유상감차 정책까지 함께 시행 중인데,, 결과적으로는 시민의 불편함으로 돌아오고 있음
노선입찰제
- 버스서비스 제공을 위한 업체 선정시 가장 낮은 금액을 제시한 업체와 계약을 체결
- 공공기관의 버스노선 운영을 위한 보조금 지원이 최저보조금액 또는 최저액의 총 운행비용을 제시하는 업체와 계약을 체결하는 방식
- 버스서비스는 대중교통이나 노선이 사유화되어 수익노선에 대해서 업체 간 경쟁이 발생하게 되며, 비수익노선은 요금인상, 배차간격 증가 등의 손실보전만 고려
- 대체교통수단이 없는 Captive Rider의 경우 이동의 기본권을 제대로 보장받지 못함
- 버스서비스의 안정적인 공급, 노선의 공공성 확보, 일정수준의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함
반응형
'기술과 이슈 및 뉴스 > 기술동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중교통 이동성지표 정시성지표 (0) | 2020.07.14 |
---|---|
BRT 구성요소, S-BRT (0) | 2020.07.13 |
클라우드버스정보시스템(Cloud BIS), BIS, BMS, BIMS (0) | 2020.07.12 |
Captive Rider & Choice Rider (0) | 2020.07.09 |
대중교통의 개요, 특징, 정책추진방향 및 목적 (0) | 2020.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