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과 이슈 및 뉴스/기술동향

클라우드버스정보시스템(Cloud BIS), BIS, BMS, BIMS

_교통쟁이_ 2020. 7. 12. 09:02
반응형

개요

  • 클라우드 방식에 기초한 버스교통정보체계(시스템)는 지자체별로 단일 버스교통정보센
    터를 구축・운영하지 않고, 지자체의 버스운행정보가 가상센터(클라우드 컴퓨터)와 직접 연
    결되는 방식을 의미
  • 지자체별로 구축한 현장 설비를 통해 버스운행정보가 수집되고, 클라우드 컴퓨터에서 이를 가공한 후 이용자에게 직접 제공하는 방식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버스교통정보체계 도입 필요성

  • 버스교통정보체계(BIMS)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많은 사업비 소요되며, 결과적으로 재정건전성이 열악한 지자체가 자체사업으로 추진하기에는 부담스러운 것이 현실
  • 이러한 지자체의 어려움을 일부라도 완화하기 위해 중앙정부는 시・군과 매칭사업으로 버스교통정보시스템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버스교통정보를 수집 가공・제공・연계하는 물리적인 정보센터를 구축・운영하는 방식(기존방식)으로는 막대한 구축 사업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버스교통 정보화사업의 확산 속도를 높일 수가 없음
  • 이와 같은 현실적인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자체별 단독 운영 정보센터 구축방식이 아닌 (가상)통합 서버형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하는 구축방안을 제안

 

클라우드 컴퓨팅기반 버스정보시스템의 장점

버스 장류장 안내단말기(BIT)는 표출만 담당하게 하고 내부구성을 단순화함으로써 현장설비의 장애요소 축소가 가능

② 버스 정류장 안내단말기(BIT) 운영체제 및 소프트웨어 장애 발생시 센터에서 직접 조치가 가능하여 발생된 장애에 대해 신속한 대응이 가능

③ 시스템 및 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류장 안내단말기 기능 확장 및 용량 증설이 용이

④ 산업용 컴퓨터를 사용하는 버스 정류장 안내단말기(BIT) 대비 구축비용이 저렴하고 장애요소 축소 및 부품 단순화를 통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 가능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버스정보시스템 개념도

 

활용 및 기대효과

  • 지자체의 경우
    ① 편리하고 이용하기 쉽고 단절없는 버스운행으로 시민들에게 신뢰성을 인정
    ② 수집되는 각종 운행자료 등을 근거로 합리적인 대중교통 정책을 수립할 수 있음
    ③ 최소인력을 투입하는 (가상)통합센터 운영으로 시스템 운영이 가능
    ④ 난폭운전, 위반차량 감소로 대중교통서비스 제공의 질적 수준을 확보
  • 버스이용자의 경우 
    ① 버스노선정보, 목적지정보, 경유지정보 등을 제공받음으로써 버스이용의 편의성이 증진
    ② 실시간 버스운행정보 제공으로 대기시간 감소 등 시간편익이 증가
    ③ 시스템 낙후지
    역은 버스정보 이용에 대한 형평성을 제공받을 수 있음
  • 버스회사의 경우
    ① 노선배차 간격 조정 및 중복노선 관리 등 버스 운영의 효율성 향상
    ② 운전기사의 운행관리를 통해 배차시간 준수, 배차간격 준수, 법규 위반 감소에 따른 버스 안전운행으로 도로이용자 및 운영・관리자의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용어정의

BIS

  • Bus Information System : 버스정보(도착시간, 위치정보, 혼잡도 등) 제공을 위한 시스템
  • 버스 이용 승각에에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목적

 

BMS

  • Bus Management System : 버스의 운행정보(개문발차, 노선운행 차량간격, 배차정보 등) 제공 및 관리를 위한 시스템
  • 관리자 및 운영자에게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목적

 

BIMS

  • 버스교통정보체계(BIMS)는 버스교통체계에 첨단 IT기술을 접목하여 버스 차량의 위치와 정류장 도착예정시간 등을 제공하여 버스교통 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이용활성화 및 효율적 버스교통운영을 도모하기 위한 시스템을 의미
  • BIS + BMS = BIMS

광역BIS

  • 생활권의 광역화, 대도시권의 도심출퇴근(통학) 등의 이유로 시계외를 이동하는 대중교통 수요와 서비스 제공 필요
  • 기존 구축된 지자체별시스템의 통합서비스 제공, 교통카드수익금배분, 운행노선의 관리 등을 위하여 2개 이상의 지자체를 운행하는 버스노선에 관하여 광역BIS 구축
  • 지자체별 기 구축된 시스템의 경우 통신방식/자료수집주기/정보표출방식 등의 기술적차이에 대한 매칭과 표준화, 구축관리를 위한 재원조달 및 부담비율과 행정권한 및 책임 등에 대한 협의 필요

 

 

*출처 : 충남 버스교통정보체계 구축 및 활용방안(2015), 충남연구원

충남 버스교통정보체계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 -클라우드 컴퓨팅 활용을 중심으로-_충남연구원.pdf
3.01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