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93

준공영제, 차량총량제, 노선입찰제

준공영제 노선배정과 수입금관리를 위한 공동기구를 설립하여 운영하며 시에서는 일정부문 수입을 보장함으로써 업체들이 적자를 받지 않도록 하는 제도 시내버스 영업의 일부를 지자체에서 맡는 제도로 2004년 서울시 버스개편과 함께 도입된 제도 준공영제 운영방식별 구분 도입효과 및 고려사항 차량총량제 주로 준공영제 시행시 함께 시행 노선의 신설, 운행 변경시 무분별한 증차로 인한 보조금 증차, 요금인상, 세금낭비 등을 방지하고자 지자체 내의 시내버스 전체 차량대수를 한정하여 그 범위내에서 차량을 운행하도록 하는 것 과도한 노선중복 및 비슷한 경로의 노선통합, 장거리 운행노선의 변경 등으로 인가대수를 조정하여 잉여차량이 발생시 신규노선 또는 수요가 많은 노선에 투입 신규노선, 기존노선의 수요증가 등으로 인한 상황에..

Captive Rider & Choice Rider

Captive Rider 대중교통 이외 다른 수단을 이용할 수 없는 사람 대중교통으로 출퇴근을 포함한 여가 등의 모든 이동을 위하여 대중교통 노선을 고려 도시중심부(CBD)의 통행방향과 수요가 많음 Choice Rider 대중교통의 통행시간과 비용이 승용차보다 적다고 판단할 때, 대중교통을 이용 (수단을 선택할 수 있음) CBD의 첨두시간 통행을 도심지역의 혼잡과 높은 주차요금을 감당해야 하기에 이 같은 선택 선택승객의 희망노선은 대부분 CDB로 향하고 있음 고정승객(Captive Rider)은 노선의 기본수요, 선택승객(Choice Rider)은 첨두시 수요 요즘은 대부분 차량을 소유하고 있으므로 Choice Rider(선택승객)의 단순 접근이 아닌 도로용량, CBD내 주차시설, 주차요금, 혼잡통행료 ..

대중교통의 개요, 특징, 정책추진방향 및 목적

개요 및 정의 「대중교통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 “대중교통수단” 및 “대중교통시설”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교통체계 - 대중교통수단 : 일정한 노선과 운행시간표를 갖추고 다수의 사람을 운송하는데 이용되는 것 ex. 노선버스, 도시철도, 기타 철도 등 - 대중교통시설 : 대중교통수단의 운행에 필요한 시설 ex. 버스터미널, 정류소, 차고지, 버스전용차로 등 / 도시철도 및 철도시설 / 환승시설 등 - 대중교통 운영자: 대중교통수단을 운행하거나 대중교통시설을 경영․관리하는 자 ex.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도시철도법 등에 따라 사업에 대한 면허․허가․인가․위탁 등을 받거나 등록․신고 한 자 ex. 철도산업발전기본법 등에 따라 설립된 법인 대중교통의 구분(KHCM) 사전에 정해진 노선 및 규칙적인 운행계획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