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93

향후 광역버스 정책방향 (feat. 대광위 백승근 위원장 간담회)

2022.06.20.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위원장 백승근) 간담회에서 전달할 향후 대광위의 광역버스 정책방향 출처 : 국토부 보도자료 ① 수도권 광역교통 사각지대에 광역버스 노선 신속하게 확대 지하철이 없거나 아직 완공되지 않은 지역 등 수도권 광역교통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하여 해당 지역을 중심으로 연간 10∼15개의 광역버스 노선을 신속하게 신설함으로써 촘촘한 광역교통망을 구축한다. 또한, 광역버스 국가 사무 전환계획*에 따라 경기도 광역버스 전체노선(192개)을 ’25년까지 대광위로 이관하고, 준공영제**를 통해 엄격하게 관리하여 배차간격 준수 등 광역버스가 안정적으로 운행되도록 할 계획이다. * 버스 분야 발전방안(’19.5월, 국토부·경기도 합동)에 따라 경기도 일반광역버스를 ’25년까지 국토..

파주~혜화역 준공영제 노선 7101 광역버스 6월 20일 개통

광역버스 준공영제 노선(7101번)이 6월 20일(월)부터 운행을 개시할 예정 파주시 금촌지구 및 운정신도시에서 출발하여 신촌·광화문·종로를 거쳐 혜화역으로 운행하는 일반광역버스 (주요경로) 금촌역 → 장안아파트 → 금화초교 → 가람마을3·4·6단지 → 산내마을10단지 → 상암DMC홍보관 → 홍대입구역 → 이대역 → 서대문역사거리 → 광화문 → 혜화역 (파주시 기준) 첫차 05시, 막차 23시, (서울시 기준) 첫차 06시 30분, 막차 24시 30분 7101번 노선은 금촌지구 재개발 및 운정신도시 입주로 인한 인구증가에 따라 파주시민들이 편안하게 서울로 이동할 수 있도록 신설되었으며, 이번 개통으로 서울 도심까지 환승 없이 빠르게 통행할 수 있게 된다.

ICD(Inland Container Depot) 내륙의 항만

개요 및 정의 항만이나 공항이 아닌 내륙시설로 컨테이너 야적장(CY, Container Yard), 철도시설 등의 고정시설을 갖추고 이송된 컨테이너 화물의 일시적인 저장과 취급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출입 컨테이너 기지 세관을 통한 수출입화물의 장치, 보관, 수송 등을 담당하는 기업이 상주하는 지역 본래 ICD는 내륙통관기지(Inland Clearance Depot)를 의미했으나 물류에 있어 컨테이너화의 급속한 확산과 복합운송의 발달과 더불어 내륙컨테이너 터미널 또는 내륙컨테이너기지로서 성장 발전하였으며 통관기능을 주요 기능의 하나로 하고 있음 국내에는 의왕 ICD와 양산ICD가 있음 운영효과 One-Stop 통관 서비스 - 세관, 식품검사소, 식물검역소, 관세사 등 통관관련 기관이 전부 상주하여 통관업..

서울지하철 시외 노선 연장 시 효율적인 방법은?

출처 : 서울시 뉴스, 시민기자 한우진 서울지하철처럼 도시 안에 설치된 철도를 도시철도라고 부른다. 도시 내 이동 수요를 처리하는 것이 목적이다. 하지만 주민들의 생활권이 서울시 바깥으로 퍼져나가는 광역화가 이루어지면서 철도도 이에 맞추어 서울시 바깥으로 나갈 필요성이 생겼다. 이런 관점에서 생긴 대표적인 철도가 90년대 경기도내 1기 신도시 건설에 맞춰 지어진 일산선과 과천선이다. 주목할 점은 이들 철도가 기존의 서울지하철인 3호선, 4호선과 연결되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열차는 양 노선을 연속하여 달린다. 이렇게 서로 다른 노선을 연결하여 한 노선처럼 운행하는 것을 ‘직결(直結)운행’이라고 한다. 2기 지하철인 5~8호선 건설 시에는 이 같은 시외 직결운행 정책이 소강상태에 들어갔고, 노선은 시계(市界..

국토정책 브리프 - 교통 접근성 격차를 고려한 공유 모빌리티 확대방안

주요내용 지방권뿐만 아니라 수도권에서도 읍·면과 동으로 구성된 도농복합도시가 다수 존재하며 같은 생활권이라도 읍·면은 동지역에 비해 도보 및 대중교통의 접근성이 떨어지고, 승용차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 수도권 외곽의 경우 저소득층과 고령층 통행자 중에 읍·면을 출발하는 통행에서 승용차를 이용하는 비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남 복지택시 등의 수요응답형교통(Demand Responsive Transport: 이하 DRT)*은 대중교통이 취약한 지역 중 일부에만 제공되며 카셰어링 등의 ‘모바일 플랫폼 기반의 공유 모빌리티’(이하 플랫폼 서비스)도 동지역에 편중됨 * DRT: 승객의 요구에 부응하여 차량운행의 경로나 스케줄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교통 서비스 ​해외 사례를 검토한 결과 ‘DRT 서비스의 탄력적인 운영’..

국토정책 브리프 - 수소경제 시대의 대기환경 개선효과와 도로정책 방향

주요내용 '수소경제'는 수소를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수소가 국가 경제, 사회 전반, 국민 생활 등에 근본적 변화를 초래하여 경제성장과 친환경 에너지의 원천이 되는 경제를 의미함 혁신성장 동력을 창출하고 미세먼지 문제 해결을 위해 각 부처가 연합하여 '수소경제' 사회로의 본격적인 전환 대책을 마련해 추진중에 있으며, 수소경제를 혁신성장을 위한 전략투자 분야로 선정, 단계적으로 수소경제를 확대하는 방안 발표 - 2022년까지 수소전기차(승용차) 8.1만대 보급, 2040년까지 620만 대(내수 290만대, 수출 330만대)의 수소전기차(승용차)생산과 수소충전소 1,200개소 구축을 추진할 계획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에서 제시한 수소 승용차 보급 목표치가 달성된다는 전체를 바탕으로 도로환경의 개선..

월간교통 2021.01 2021년 교통정책 연구방향과 과제

2021년 교통정책 연구방향과 과제 특집 01 모빌리티 산업의 구조 전환 준비 (4차산업혁명교통연구본부 연구방향 과제) 특집 02 대중교통체계 혁신 연구 및 코로나19 이후 미래 교통체계 구상 (종합교통연구본부 연구방향과 과제) 특집 03 패러다임 바뀌는 도로정책 주도, 산적한 도로문제 솔루션 제공 (도로교통연구본부 연구방향과 과제) 특집 04 이용자 중심의 철도서비스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 마련 (철도교통연구본부 연구방향과 과제) 특집 05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전략 개발 및 항공정책 연구 강화 (항공교통연구본부 연구방향과 과제) 특집 06 물류산업 스마트화·디지털화 앞당기는 실행방안 마련 (물류연구본부 연구방향과 과제) 특집 07 정부·민간에 도움되는 글로벌 정책연구와 해외사업 추진 (글로벌교통연구..

월간교통 2020.12 한국판 뉴딜정책 교통물류 분야 추진방안

시론 교통부문 한국판 뉴딜, 이렇게 추진하자 한국판 뉴딜정책 교통물류 분야 추진 방안 특집 01 그린 모빌리티 확대를 위한 당면 과제 특집 02 e-Mobility 기반의 스마트 모빌리티 활성화 방안 특집 03 화물차 온실가스·미세먼지 저배출 전환 특집 04 한국판 뉴딜의 도로 SOC 디지털화 특집 05 통합 C-ITS 체계 구축 방향 특집 06 R&D 혁신을 통한 철도 SOC 디지털·그린 뉴딜 특집 07 항공·공항부문 디지털 뉴딜 특집 08 한국판 뉴딜과 스마트시티 교통 솔루션 실행방안 특집 09 판교제로시티 자율주행 실증단지 운영사례 및 시사점 특집 10 자율주행 성능검증 인증체계 조기 구축 특집 11 생활물류산업 스마트화 지원방안 특집 12 콜드체인과 물류에너지 관리 개선방안 특집 13 디지털 도시..

Universal Design(유니버셜디자인) 적용 사례

Universal Design(유니버셜디자인) 이란? 성별, 나이, 국정, 문화적배경, 장애의 유무에 상관없이 누구나 손쉽게 쓸 수 있는 제품 및 사용환경을 만드는 디자인 "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All)" 이나 "범용(汎用) 디자인"이라 칭함 참고 : Barrier Free & Universal Design Barrier Free & Universal Design 개요 Barrier Free -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 일상적인 생활을 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물리적 장벽을 제거한다는 개념 - 장애에 대하여 처음부터 구분하여 이것이 불편하지 않도록 하는 것 Universal Des trans-master.tistory.com 서울시 경로당 유니버셜디자인(Universal Design) ..

Barrier Free & Universal Design

개요 Barrier Free -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 일상적인 생활을 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물리적 장벽을 제거한다는 개념 - 장애에 대하여 처음부터 구분하여 이것이 불편하지 않도록 하는 것 Universal Design - 장애의 유무와 연령, 사회 환경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제품, 건축, 환경, 서비스 등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설계의 개념 - 장애와 비장애를 단순대비하지 않고 모든 것을 포괄하는 보편적인 설계의 개념 Universal Design 7가지 원칙 “공평한 사용” Equitable Use - 누구라도 차별, 불안, 열등감을 느끼지 않고 공평하게 사용이 가능한가 - 누구나 공평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사용자의 융통성” Flexibility Use - 서툴거나 다양한 생활환경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