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요
- 사업의 시행에 따라 발생하는 교통량·교통흐름의 변화 및 교통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예측·평가하고 관련된 각종 문제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교통개선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평가
- 교통권역, 도시교통정비지역 내에서 도시개발, 에너지개발 산업단지조성, 도로, 철도, 항만, 건축 수선, 리모델링 등 사업의 시행시 교통영향·안전·예측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평가
- 관련법 「도시교통정비촉진법」, 교통영향평가 지침(국토교통부 고시 제2016-29호)
교통지표, 교통영향평가 지표, 교통유발원단위
- 교통지표는 국토종합개발계획, 도시기본계획, 도시교통정비기본계획, 사회간접자본시설 확충계획 등 관련 상위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회·경제지표중에서 교통수요의 특성을 파악 할 수 있는
① 인구증가율
② 자동차보유대수 증가율
③ 경제성장률
④ 도로율 - 교통지표 중 교통영향평가의 기준이 되는 교통영향평가지표
① 통행발행량
② 교통수단별 분담률
③ 시간대별 유·출입분포율
④ 교통유발원단위
⑤ 교통량
⑥ 주행속도 - 교통유발원단위
단위시간(일반적으로 24시간)과 단위지표(단위인구, 면적, 통행자)를 토대로
① 통행량을 추정
② 또는 현황조사의 실측자료
반응형
'정책과 환경변화 > 정책 및 보도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교통정비 계획의 절차 (0) | 2020.10.18 |
---|---|
광역교통시설의 정의와 부담금 대상 (0) | 2020.10.16 |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회, 국가교통위원회 (0) | 2020.10.15 |
약식 교통영향평가 대상, 실시방법, 절차 (0) | 2020.10.14 |
교통영향평가 변경심의 대상 (0) | 2020.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