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과 환경변화/정책 및 보도자료

교통영향평가, 교통지표 및 교통영향평가 지표

_교통쟁이_ 2020. 10. 8. 07:00
반응형

개요

  • 사업의 시행에 따라 발생하는 교통량·교통흐름의 변화 및 교통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예측·평가하고 관련된 각종 문제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교통개선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평가
  • 교통권역, 도시교통정비지역 내에서 도시개발, 에너지개발 산업단지조성, 도로, 철도, 항만, 건축 수선, 리모델링 등 사업의 시행시 교통영향·안전·예측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평가
  • 관련법 도시교통정비촉진법, 교통영향평가 지침(국토교통부 고시 제2016-29)

 

교통지표, 교통영향평가 지표, 교통유발원단위

  • 교통지표는 국토종합개발계획, 도시기본계획, 도시교통정비기본계획, 사회간접자본시설 확충계획 등 관련 상위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회·경제지표중에서 교통수요의 특성을 파악 할 수 있는

    ① 인구증가율
    ② 자동차보유대수 증가율
    ③ 경제성장률
    ④ 도로율
  • 교통지표 중 교통영향평가의 기준이 되는 교통영향평가지표

    ① 통행발행량
    ② 교통수단별 분담률
    ③ 시간대별 유·출입분포율
    ④ 교통유발원단위
    ⑤ 교통량
    ⑥ 주행속도
  • 교통유발원단위

    단위시간(일반적으로 24시간)과 단위지표(단위인구, 면적, 통행자)를 토대로

    ① 통행량을 추정
    ② 또는 현황조사의 실측자료
반응형